영화 줄거리
1962년 미국 뉴욕.
브롱스 클럽 에서 일하는 ‘토니 발레롱가’. 그는 이탈리아계 미국인으로 사람들은 그를 떠벌이(립)이라고 부릅니다. 클럽에서 그는 진상손님들을 해결하고 귀찮은 일들을 처리하는 일을 한다. 그런데 클럽이 공사를 시작하면서 몇 달 정도 일거리가 끊기고 어쩔 수 없이 무급휴가를 갈 수 밖에 없었습니다. 그에겐 아내와 아들 둘이 있어서 쉴 수 만은 없는 상황이었습니다. 쉬는 날 집을 수리하러 온 흑인 작업자 두 명이 옵니다. 부인은 그들에게 음료수를 대접 했는데 토니는 그 컵을 쓰레기통에 버리지요. 마초적인 집안 분위기와 외부의 환경에 휩씁려 인종차별을 자연스럽게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그런 토니는 일자리 하나를 소개 받습니다. 가보니 내부를 궁전처럼 꾸며 놓은 곳에 흑인 천재 피아니스트 ‘ 돈 셜리’가 있었습니다. 그는 미국 남부투어 운전사 겸 보디가드를 구하고 있었습니다. 흑인을 위해 일하는 것은 마음에 들지 않았지만 보수가 높아 하기로 결정합니다.
이때 미국은 여전히 인종차별이 많이 존재했던 시기. 특히 남부는 인종차별이 여전히 심하게 일어나고 있어서 흑인이 혼자 여행하기는 어려웠습니다.
그린북은 흑인들을 위한 전용 안내 책자로 흑인들이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식당, 숙소, 주유소등을 소개해 놓은 책이었습니다. 이 그린북을 들고 둘은 8주간의 여정을 떠납니다.
흑인 박사 돈 셜리는 우아하고 도덕적인 삶을 살고 있었고, 토니는 허세와 허풍이 심하고 말도 가볍고 경망스럽게 합니다. 둘은 서로 맞지도 어울리지도 않지만 같이 공연 순회를 하는 동안 서로에게 영향을 주고 마음을 조금씩 열게 됩니다.
미국 남부는 인종 차별이 심해 셜리는 bar에서 백인들에게 이유 없이 맞고, 양장점에 들어가 양복을 입어 보려 하지만 흑인은 입어볼 수 없다며 면박을 당합니다. 또한 공연장에서 실내 화장실은 쓸 수 없으니 밖에 있는 허름한 화장실을 쓰라고 합니다. 백인들은 그러면서 전혀 미안해하지 않고 당당합니다.
토니는 본인도 자연스럽게 인종차별을 사고 있었지만 이런 말도 안되는 대접에 화가 납니다.
한번은 어느 도시에서 토니의 옛 동려들이 돈을 더 줄테니 흑인 밑에서 일하지 말고 본인들과 일하자고 합니다.
이 이탈리아 말을 알아들은 셜리는 혹시 그만둘까 걱정하지만 토니는 안심을 시키고 떠나지 않을거라 약속합니다.
어느 날 장대비로 밤에 길을 잃고 운전해서 가던 중 경찰이 검문을 하다 흑인이 타고 있다면 흑인은 밤에 다닐 수 없다고 윽박을 지릅니다. 다투던 중 경찰이 이탈리아 이민자 토니를 모욕하는 말을 해서 화가 난 토니가 경찰을 때리고 죄없는 셜리까지 같이 경찰서에 갇히게 됩니다. 어쩔 수 없이 셜리는 전화 한통을 하고 주지자가 전화해 당장 셜리를 꺼내 주라고 합니다.
셜리는 평생 차별을 당하며 살아 왔는데 그 한번을 못참냐고 토니에게 화를 냅니다. 화를 내면 달라지느냐고 묻습니다. 그러면서 자신의 상처를 말합니다. 본인의 무대를 보고 박수를 치지만 무대를 내려오면 백인들은 자신을 사람으로 취급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백인과도 흑인과도 어울리지 않는 본인 모습에 어디가서 하소연 할 수 도 없다고 말합니다.
투어 중 토니는 틈틈이 부인에게 편지를 썼는데 무슨 말을 하고 싶은지 모를 두서없는 말들만 씁니다. 셜리는 자신이 마음을 담은 멋진 문장으로 고쳐주겠다며 도와주고 그 편지를 받은 부인은 감동을 합니다.
미국 투어의 마지막 날
공연 전 식사를 하려는데 바로 공연을 하는 그 장소인 식당에서 흑인은 식사를 할 수 없다며 다른 곳에서 식사를 하고 오라고 합니다. 토니는 지배인의 멱살을 잡습니다. 그러나 셜리는 공연을 끝내야 토니가 돈을 받아가기 때문에 밖에서 먹고 오자고 합니다. 선택을 토니한테 하라고 하자 그 대접을 참을 수 없어 그냥 나오게 됩니다. 그리고 근처의 허름한 클럽에서 셜리는 한번도 해보지 않은 공연을 합니다. 그 공연은 그 클럽의 모든 흑인들을 흥겹게 만들어 주었죠.
크리스마스 이브에 집에 가겠다는 토니의 약속을 지켜주려 마지막 날 힘든 토니 대신 운전대를 잡은 셜리.
토니는 셜리에게도 같이 가자며 초대하지만 거절합니다. 토니는 가족과 친척들이 모두 모여 있는 집으로 돌아옵니다. 그 와중에 누군가 흑인을 비하하는 말을 하자 하지 말라고 하며 달라진 모습을 보여줍니다.
잠시 뒤 토니의 집에 찾아온 손님은 바로 셜리였습니다.
감상평
불합리와 불공정, 차별이 일어나는 환경은 내가 겪지 않아도 나에게 영향을 주게 됩니다. 지금은 생각지도 못할 노예제도와 인종 차별 환경. 하지만 지금도 100프로 없어지지는 않았기에 보면서 지난 기간 동안 수많은 차별을 당한 흑인들과 더불어 아시아인들의 삶들이 참 힘들었겠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남부를 이동하던중 아직도 노예로 살고 있는 흑인들이 농장에서 일을 하다 백인이 일을 하고 그냥 있는 흑인 셜리를 보며 생경한 표정으로 멍하게 쳐다보는 장면이 인상 깊었습니다.
마초적인 분위기에서 산 토니와 우아하고 외로운 삶을 산 셜리가 우정을 만들어가는 과정이 참 마음 따뜻했습니다.
모르고 하면 분위기에 휩쓸려 할 수 있는 차별들이 같이 어울리고 공유하면 저렇게 친구가 될 수 있는 것들인데 말이죠.
실화를 바탕으로 한 가슴 따뜻한 영화 한번 보시길 추천드려요.
기본 정보
개봉 : 2019. 1. 9
관람등급 : 12세 관람가
감독 : 피터 패럴리
주연 : 비고 모텐슨, 미허샬라 알리
상영시감 : 130분
댓글